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57)
서평 |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 맥스 반 마넨(Max van Manen) 지음, 학지사, 2014년 '가르침'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질문우리는 ‘가르침’을 너무 당연하게 여깁니다. 교육과정, 수업 목표,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그것을 달성하는 것이 교육이라고 생각하곤 하죠. 그러나 네덜란드 출신의 교육철학자 **맥스 반 마넨(Max van Manen)**은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에서 이 단순한 개념을 철저히 해체하고,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육적 만남’이라는 깊은 인간 경험으로 다시 정의합니다.전문적인 교사 교육을 고민하는 제게 이 책은 단순한 실천 지침서가 아닌, 교사로 살아간다는 것 자체를 철학적으로 성찰하게 하는 텍스트였습니다. 책의 메시지 – 교육은 ‘전술’이 아니라 ‘촉(觸, tact)’이다반 마넨이 던지는 가장 인상 깊은 개념은 바로 **“교육적 촉(tact)”**입니다. 이는 지식이나 기..
아이 한 명이 사회 전체입니다 – 어린이집 원장이 지닌 막중한 책무 어린이집의 주인은 누구일까요?당연히 어린이집이니 어린이이겠죠!어린이집의 문을 열면, 가장 먼저 반기는 건 아이들의 맑은 웃음입니다. 그 웃음 속에는 부모의 신뢰와 교사의 헌신, 그리고 무엇보다 원장의 깊은 책임감이 담겨 있습니다.한 명의 원장은 단지 시설의 운영자일 뿐 아니라, 아이와 교직원, 가정과 지역사회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책무를 지닌 존재입니다. 이 글은 어린이집 원장이라는 직무에 담긴 보이지 않는 책임과 실천들을 조명하며, 우리 사회가 함께 이해하고 지지해야 할 이유를 담았습니다.1. ‘맡긴다는 것’의 무게 – 아이의 하루를 책임지는 사명 어린이집은 아이에게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입니다. 원장에게는 한 아이의 생활 전반, 정서적 안전, 발달 환경 전부를 품고 이끌 책..
보육교사의 업무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아이를 위한 사랑, 어디까지가 교사의 몫인가요? 보육교사의 업무는 단순히 아이를 돌보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교육 계획 수립, 부모 상담, 청소, 문서 작성, 행사 준비까지 그 범위는 매우 넓습니다. 본 글에서는 법적으로 규정된 보육교사의 업무 범위와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과도한 업무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를 통해 교사의 정당한 권리와 건강한 보육 환경이 무엇인지 짚어봅니다. 또한 교사와 원장, 부모 간의 업무 조율이 왜 중요한지를 다루며,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존중받는 근무환경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절실함을 제시합니다. 교사는 아이를 돌보는 사람일까요? 만능직원일까요?“청소도 내가, 행사도 내가, SNS도 내가... 이건 교육인가요, 운영인가요?”보육교사의 업무는 어디까지여야 할까요?정해진 근무시간 동안 아이들과 온전히 마주하기도 벅찬데, 그 ..
서평 『한솔영유아교육과정 총론』 -"교육과정은 교사의 철학으로 완성된다" 도서 정보책 제목: 『한솔영유아교육과정 총론』저자: 한솔어린이보육재단 교육연구소출판사: 한솔어린이보육재단 (도담서가)초판 발행: 2025년 1월쪽수: 180쪽ISBN: 9791197032967 ㈜연합시스템+8예스24+8교보문고+8책을 읽게 된 이유현장에서 보육교사로 일하며 ‘누리과정’을 실제로 실행하는 일은 늘 고민의 연속입니다.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것과 실제 아이를 마주하는 것 사이엔 생각보다 큰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그런 점에서 『한솔영유아교육과정 총론』은 교사가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돕는 귀중한 지침서였습니다. 단순한 이론 소개서가 아니라, 한솔재단의 오랜 실천을 기반으로 정제된 교육철학과 실제 적용 방안이 담긴 책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었습니다.핵심 메시지『한솔영유아교육과..
서평 |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실천과 성찰을 아우르는 필독서 영유아 교육의 현장에 꼭 필요한 안내서『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는 단순한 이론서가 아닙니다. 실제 어린이집, 유치원 등 보육현장에서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하며 평가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구체적인 실무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저자인 이신자 교수 외 다수의 전문가들이 집필하여, 이론과 경험이 균형 잡힌 구조로 짜여 있습니다. 특히 2019년 개정 누리과정과의 연계가 충실히 반영돼 있어, 최신 교육 흐름에 맞춘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합니다 이 책의 핵심 메시지: "프로그램은 아이들의 오늘과 내일을 잇는 다리이며, 평가는 그 다리의 튼튼함을 확인하는 눈이다"이 책은 아이 중심의 발달 특성과 교육 목표에 맞춰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 현장에서 아이들의 반응과 발달 변화, 교사의 실행 과정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어린이집 교사 출산휴가·육아휴직 완벽 가이드 (2025 최신판) "출산휴가 신청은 언제까지?""육아휴직 중 월급은 얼마나 받나요?""어린이집에서는 어떤 절차가 필요하죠?"보육 현장에서 자주 들리는 질문들입니다.2025년 현재, 어린이집 교사도 당당하게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가 있습니다.하지만 제도를 정확히 몰라 불이익을 겪는 경우도 많습니다.이 글은 어린이집 교사와 원장, 행정 담당자를 위한 필수 안내서입니다.제대로 알고, 제대로 신청하세요.✅ 출산휴가란? (2025년 기준)총 90일 (다태아는 120일)출산 전 최소 45일 이상 사용 필수분할 사용 불가💼 교사의 준비 절차✔ 산부인과에서 출산예정일 증명서 발급✔ 어린이집에 출산휴가 신청서 제출✔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급여 신청📎 필요서류: 재직증명서, 급여명세서, 출산예정일 증명서💰 급여 지..
서평 『어린이라는 세계』 – 김소영 지음 (사계절, 2020년) ‘아이의 세계’를 이해하는 첫걸음김소영 작가의 『어린이라는 세계』는 2020년에 출간된 에세이로, 독서 교육 현장에서 어린이들과 호흡하며 지낸 작가가 아이들에 대한 진지한 관찰과 사랑을 담아낸 책이다. 저자는 전직 아나운서라는 커리어를 접고 어린이책방 ‘책발전소’를 운영하며, 아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얻은 생생한 경험을 이 책에 풀어놓는다.나 역시 어린이집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살아가는 교육자로서, “어린이”를 단지 ‘작은 사람’으로 보는 시각을 넘어, 그들만의 고유한 세계를 진심으로 이해하고 싶다는 바람 속에서 이 책을 읽게 되었다.핵심 메세지 – ‘어린이도 하나의 온전한 세계다’이 책의 핵심 메시지는 분명하다.“어린이는 아직 미성숙한 어른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살아가는 하나의 온전한 존재이며, ..
좋은 원장은 무엇으로 증명되는가?– 구청·시청 등 점검기관이 느끼는 어린이집 원장의 신뢰 기준 “현장을 믿게 만드는 건 매뉴얼이 아니라 사람이다.”어린이집을 점검하러 온 공무원의 말입니다.어린이집 운영에 있어 행정기관의 신뢰를 얻는다는 것은 단순히 ‘문제가 없었다’는 의미를 넘어, 안정성과 책임감을 증명했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행정기관은 어떤 어린이집 원장을 ‘신뢰할 수 있다’고 느낄까요? 1. 점검 전부터 준비된 태도 – 책임감 있는 운영의 출발어린이집은 보육의 최일선이자 동시에 법적·행정적 책임이 집중된 공간입니다.구청 보육과, 시청, 육아종합지원센터 등 다양한 기관이 정기적으로 점검을 진행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그러나 점검기관이 이야기하는 **‘좋은 어린이집’**은 단지 서류가 잘 정리된 곳이 아닙니다.“항상 준비된 원장”, **“기준을 알고 움직이는 곳”**을 신뢰한다고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