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어린이집도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중대재해는 건설업 얘기 아닌가요?”라고 묻습니다.
그러나 2022년 1월부터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교육·돌봄기관도 적용 대상입니다.
특히 중대시민재해 조항에 따라 아동이나 보호자, 교사가 안전사고로 중상해를 입거나 사망할 경우, 원장과 법인이 법적 책임을 집니다.
예를 들어, 놀이기구 전도로 원아가 다치거나, 급식 식중독으로 다수의 원아가 입원하면 중대재해로 분류됩니다.
2. 보육교사의 안전사고 예방이 중요한 이유
안전사고 예방은 단순히 ‘아이 지키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보육교사는 교육자이면서 동시에 작업환경 안전의 당사자입니다.
교사 본인의 부상이나 질병이 발생하면 산업재해로 이어지고,
이는 개인의 생활뿐 아니라 어린이집 운영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즉, 안전관리는 아이와 교사 모두를 위한 ‘이중 방패’입니다.
3. 현장에서 발생하는 주요 산업재해 사례
어린이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는 다양합니다.
- 신체 부상: 아이를 안거나 업는 과정에서 허리 디스크, 무릎 손상
- 시설물 사고: 미끄러운 바닥에서 넘어져 골절
- 질병: 장시간 소음·고성으로 인한 청력 저하, 성대 결절
- 급식 관련 사고: 식재료 관리 부실로 인한 식중독
- 감염병 전파: 독감, 수족구병 등 교사와 아이 간 상호 전염
이러한 사고는 모두 산업재해보험 적용이 가능하며, 예방 관리가 미흡하면 법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산재 신청과 보육교사의 권리
많은 보육교사가 산재 신청을 주저합니다.
“아이와 놀다가 다친 건 내 부주의 아닌가?” 하는 오해가 있지만, 업무 중 발생한 부상과 질병은 모두 산재 신청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낮잠 재우기 중 무거운 아동을 들어 올리다 허리를 다친 경우, 교사-아동 접촉으로 인한 전염병 감염 등도 인정됩니다.
교사는 반드시 산업재해보험과 신청 절차를 숙지해야 하며, 원장은 이를 지원할 의무가 있습니다.
5. 예방을 위한 5단계 안전관리 전략
1) 매일 아침·저녁 시설 점검
- 놀이기구, 바닥, 문 손잡이, 콘센트 안전 커버 등 확인
- 점검 결과를 기록해 두면 법적 대응 시 증거로 활용 가능
2) 교사 안전 교육 정례화
- 연 2회 이상 응급처치·심폐소생술 교육
- 허리·무릎 부상 예방 스트레칭 교육 포함
3) 사고 대응 매뉴얼 비치
- 모든 교직원이 즉시 접근 가능하게 파일·QR코드 형태로 배포
4) 보호자와 안전 소통
- 안전 점검 결과와 예방 활동을 월간 가정통신문에 포함
- 사고 발생 시 사실과 조치를 투명하게 안내
5) 법·제도 변화 숙지
-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공지사항 정기 확인
- ‘중대재해처벌법’ 관련 교육 자료 숙지
6. 사례로 보는 안전사고 대응의 차이
사례 A – 예방 중심
서울의 한 어린이집은 매일 아침 교사들이 교실과 놀이터를 점검하고, 작은 균열이나 위험 요소를 즉시 보수했습니다. 결과적으로 3년간 단 한 건의 중상 사고도 발생하지 않았고, 학부모 만족도도 매우 높았습니다.
사례 B – 사후 대응 중심
반면, 안전 점검을 형식적으로만 하던 다른 시설에서는 놀이기구 나사가 풀려 아동이 팔 골절을 당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경우 원장은 중대시민재해로 경찰 조사를 받았고, 법적·경제적 부담이 컸습니다.
7. 안전은 아이와 교사를 동시에 지킵니다
안전사고 예방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입니다.
법이 강화된 지금, 어린이집 현장은 더 철저한 안전관리가 필요합니다.
보육교사가 안전을 지키면, 아이는 건강하게 자라고, 교사는 자신의 권리와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중대재해·산업재해는 사전에 막을 수 있습니다. 오늘, 교실 한 번 더 점검하는 습관이 아이의 미래와 교사의 삶을 바꿉니다.
'선생님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육교사도 지켜야 할 권리가 있다 – 중대재해 속 인권 이야기 (1) | 2025.08.27 |
---|---|
잘 쉬는 법- 쉼과 회복의 공간 : 가평우리마을 (1) | 2025.08.18 |
보육교사 산재신청 절차 – 권리를 지키는 심화 실전 가이드 (3) | 2025.08.15 |
교사 존중, 아동 존중의 시작입니다– 안전과 신뢰를 바탕으로 모두가 웃을 수 있는 어린이집을 위해 (4) | 2025.08.13 |
보육교사의 업무 범위는 어디까지인가?– 아이를 위한 사랑, 어디까지가 교사의 몫인가요? (0) | 2025.07.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