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마지막 날. 아이들이 손을 흔들고, 이름을 불러줍니다.
“○○ 선생님, 안녕~ 또 와요!”
짧지만 뜨거웠던 한 달이 끝났습니다. 이제 남은 건 정리와 시작입니다.
🔸 실습 마무리 정리법 – 기록은 나의 성장 도구
실습 마지막 주에는 아래의 항목을 정리해보세요.
교사 피드백 | 지도교사가 해준 말, 조언 정리 |
아이와의 기억 | 유의미한 상호작용 3가지 |
활동 성공/실패 | 이유 분석과 다음 기회엔 어떻게 할지 |
누리과정 연결 | 활동 연계 사례 간단히 정리 |
📝 Tip: 구글 문서로 정리하면 나중에 포트폴리오에 쉽게 활용 가능합니다.
🔸 감사 표현 – 진심은 작은 메모에서 시작됩니다
지도교사와 원장 선생님께는 짧더라도 손글씨 편지나 감사카드를 전해보세요.
예:
“실습 기간 동안 배움의 기회를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아이들을 대하는 따뜻한 시선을 통해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습니다.”
이런 태도는 현장 적응력과 인성을 높게 평가받는 요소가 됩니다.
🔸 실습 포트폴리오 – 교사 취업 준비의 핵심
최근 어린이집 교사 채용 시, 실습경험이 가장 중요하게 평가되는 항목 중 하나입니다.
보건복지부 채용 가이드(2024)에 따르면, 다음을 포함한 실습 포트폴리오가 효과적입니다.
- 실습일지 요약본
- 활동사진 (초상권 유의)
- 누리과정 연계 활동 사례
- 느낀 점과 성장기록
- 나의 교사 철학 (1장 이내)
💡 대학 수업의 과제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으니 체계적으로 구성해 두세요.
🔸 교사 철학, 지금부터 써보세요
“나는 어떤 교사가 되고 싶은가?”
이 질문은 실습 후 반드시 스스로에게 던져야 합니다.
예시: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이해하고, 기다릴 줄 아는 교사이고 싶다.”
“놀이 안에서 배움이 일어난다는 믿음을 가진 교사가 되고 싶다.”
이 철학은 면접에서도 자주 묻는 질문이며,
실습 경험이 녹아든 철학은 진정성의 힘을 가집니다.
🔸 실습을 마친 당신에게 – 교사의 길은 계속됩니다
실습이 끝났다고 해서 끝이 아닙니다.
지금부터 진짜 시작입니다.
이 경험은 어떤 수업보다도 크고 진한 배움입니다.
아이들과의 순간, 선생님의 조언, 울컥했던 감정 하나하나가
교사라는 이름에 생명을 불어넣는 재료가 됩니다.
“교사가 된다는 건, 계속해서 배우는 존재가 된다는 것”
이제 당신은, 유아 곁에 서는 준비된 어른이 되었습니다.
실습은 끝났지만, 교사로 사는 길은 이제 막 열렸습니다.
그 길에 든든히 함께 걷겠습니다.
'어린이집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놀이도 아주 중요한 놀이입니다 – 놀이 중심 교육과정 속 ‘물’의 의미(누리과정과 연결되는 여름철 물놀이의 가치와 실천) (0) | 2025.07.14 |
---|---|
“물속에서 자라는 아이들 – 어린이집 물놀이는 놀이 그 이상입니다” (0) | 2025.07.14 |
아이들은 웃지만 교사는 뛴다 – 물놀이 안전관리 A to Z (0) | 2025.07.13 |
어린이집에서의 물놀이는 ‘놀이’ 그 이상입니다 (0) | 2025.07.13 |
7월, 어린이집에 워터파크가 옵니다 . 물놀이 준비부터 마무리까지 – 교사의 하루는 ‘수고’로 가득 찼습니다 (0) | 2025.07.13 |